terraform
-
EKS로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 구축하기 - 환경 구성 2EKS 2019. 4. 21. 22:52
앞에서 우리는 기본적인 작업환경을 세팅해 봤는데요... 본격적으로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한 툴인 Terraform과 Helm, 그리고 이들의 개발도구인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erraform 설치 AWS에도 자체적으로 CloudFormation을 제공하기는 합니다. CloudFormation을 사용하면 GUI 환경에서 간단한 설정으로 손쉽게 관리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CloudFormation의 코드 가독성이 별로 좋지 않고, GUI에서 설정의 제약으로 일부 코드 수정을 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때 코드 수정의 어려움이 컸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Terraform을 이용해서 간단한 문법과 간결한 코드 관리를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
EKS로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 구축하기 - 프롤로그EKS 2019. 3. 18. 01:28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새로운 주제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제가 작년 연말에 이직을 하게 되면서... 회사 적응기를 거쳐 1월부터 신규 프로젝트에 투입이 되었는데요.그 과정에서 기존에 docker container 환경을 AWS에 구축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일주일 동안은 AWS와 ECS, Terraform에 대해 스터디를 하며 서비스를 하나씩 올리고 있었는데요...그러던 1월 10일 Amazon에서 EKS 서울 리전이 오픈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제가 담당한 프로젝트도 EKS로 구축하기로 의사결정이 되었습니다. 나이스 타이밍???? 사실은 기존 프로젝트가 PKS에 이미 구축이 된 상태라서 ECS보다는 EKS가 구축하기엔 더 수월할 수도 있었는데요...문제는 이제 막 한국에 오픈한 EKS..